반응형
“요즘 잘 나가는 종목에 올라타야 수익 낼 수 있어요.”
이런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말의 핵심이 바로 모멘텀 투자(Momentum Investing)입니다.
감으로 올라타는 게 아니라, **데이터와 패턴을 분석해 상승 흐름에 ‘기술적으로’ 올라타는 전략**이죠.
📌 모멘텀 투자란?
‘오르는 종목은 더 오른다’는 통계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승 추세가 있는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이에요.
반대로 하락 추세에 있는 종목은 피하거나 매도하는 전략도 함께 씁니다.
- 핵심 가정: 상승세(또는 하락세)가 일정 기간 지속된다
- 근거: 시장 참가자의 심리, 거래량, 기술적 흐름 등
- 대표적 사용 분야: 퀀트펀드, ETF 자산 배분, 단기 트레이딩
📌 구체적으로 어떻게 투자하나요?
1. 상승률 순위 매기기
최근 3개월, 6개월, 12개월 수익률이 높은 자산을 골라내요.
2. 강세 종목에 집중 투자
수익률 상위 10~20% 종목만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기도 해요.
3. 정기적으로 리밸런싱
상승세가 꺾인 종목은 제외하고, 새로 떠오른 종목으로 교체합니다.
📌 예시: 모멘텀 ETF 활용
- TIGER 모멘텀합성 ETF: 최근 6~12개월간 상승률 높은 종목을 추적
- 미국 MTUM ETF: MSCI 모멘텀 인덱스를 기반으로 성장세 종목에 집중
👉 모멘텀 ETF는 자동화된 데이터 기반 리밸런싱으로, 감정 개입 없이 흐름을 타도록 설계돼 있어요.
📌 가치투자와의 차이점
가치투자는 ‘싸고 좋은 주식’을 고르지만,
모멘텀 투자는 ‘비싸도 오르고 있는 주식’을 고릅니다.
현재보다 ‘흐름’을 더 중요하게 보는 전략이죠.
📌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
강한 트렌드에 빠르게 올라탈 수 있음 | 고점 추격 리스크 존재 |
복잡한 재무 분석 없이도 전략 구사 가능 | 시장 급변 시 손실이 클 수 있음 |
📌 모멘텀 투자가 잘 작동하는 시장
- 명확한 테마가 있는 시기 (ex: AI, 2차전지 붐)
- 중단기 수익률 격차가 뚜렷한 장세
- 자금 쏠림이 강하게 발생하는 섹터
✅ Tip
모멘텀 투자는 감정이 아니라 ‘흐름을 수치로 보는 전략’이에요.
단기 매매에만 쓰는 전략이 아니라, ETF나 자동화된 투자 시스템에서도 고도화된 운용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어요.
나의 투자 스타일이 ‘빠르게 움직이고 싶은 타입’이라면,
모멘텀 전략이 딱 맞을 수 있어요.
반응형
LIST
'가치의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I, GDP, 금리: 경제 뉴스 이해하기 (3) | 2025.06.18 |
---|---|
팩터 투자로 주식 고르기 (3) | 2025.06.18 |
가치투자 vs 성장투자: 당신의 성향은? (3) | 2025.06.17 |
TDF: 은퇴 준비는 투자로부터 (3) | 2025.06.16 |
NAV: 펀드의 현재 가치는? (8)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