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펀드 투자에 관심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갈림길이 있죠.
바로 인덱스펀드냐, 액티브펀드냐의 선택입니다.
둘 다 여러 종목에 나눠서 투자한다는 점은 같지만, 운용 철학과 방식은 전혀 달라요.
📌 인덱스펀드란?
‘시장 평균을 그대로 따라가는 펀드’예요.
예를 들어, 코스피200 인덱스펀드는 코스피200 지수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수익이 나요.
- 대표적인 수동적 투자
- 지수 구성 종목 그대로 담기 때문에 분산 효과가 큼
- 수수료(보수)가 저렴하고 투명함
📌 액티브펀드란?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선별해서 시장보다 높은 수익률을 노리는 펀드’예요.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투자 비중이나 종목이 조정되죠.
- 시장 대비 초과 수익(알파)을 추구
- 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수익률 편차 큼
- 보수가 높고 거래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음
📌 핵심 비교표
구분 | 인덱스펀드 | 액티브펀드 |
---|---|---|
운용 방식 | 시장 지수 추종 (수동적) | 펀드매니저가 종목 선정 (능동적) |
수수료 | 낮음 | 높음 |
성과 차이 | 시장 평균 수준 | 성과 편차 큼 (상향 or 하향) |
투명성 | 높음 (지수 구성 동일) | 낮음 (전략 비공개 많음) |
📌 어떤 펀드를 선택해야 할까?
인덱스펀드는 저비용, 장기 안정 추구에 적합하고, 액티브펀드는 시장 대비 초과 수익을 원하거나, 특정 섹터에 대한 전문가의 판단을 믿고 투자할 때 적합해요.
많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인덱스펀드를 기본으로 하고, 일부 비중만 액티브펀드로 운용하는 방식도 자주 사용돼요.
✅ Tip
펀드는 단순히 수익률로만 비교하지 마세요.
내 투자 성향, 목표, 기간에 따라
‘수동형이 나은가, 능동형이 나은가’를 판단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반응형
LIST
'가치의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F: 은퇴 준비는 투자로부터 (3) | 2025.06.16 |
---|---|
NAV: 펀드의 현재 가치는? (8) | 2025.06.16 |
‘저평가’ 종목이라는 말, 진짜일까? (3) | 2025.06.14 |
신탁이란 무엇인가? (5) | 2025.06.14 |
만기수익률(YTM), 채권 수익률의 핵심 (6) | 2025.06.13 |